한국식 행복과 미국식 만족

“언니는 맥시마이저(maximizer)야, 아니면 새티스파이어(satisfier)야?” 어느 토요일 아침 요가 클래스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후배가 이렇게 물었을 때 고개를 갸우뚱했다. 새로 나온 로봇 이름이냐고 묻고 싶었지만 꾹 참고 “그게 뭔데?”라고 되물었다. 후배는 이렇게 설명했다.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최대만족을 추구하는 ‘맥시마이저’와 주어진 현실에 만족하고 사는 ‘새티스파이어’다. 만족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맥시마이저는 항상 ‘더 많이’ ‘더 높이’를 추구한다. 직장도 제일 좋아야 하고, 가장 일을 잘한다는 인정도 받아야 하고, 남보다 월급도 더 많이 받아야 한다. 그러니까 성취도도 높고 성공할 가능성도 많다. 하지만 자신보다 더 ‘잘 나가는’ 사람이 옆에 있는 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한, 맥시마이저는 만족하지 못한다. 그래서 맥시마이저는 쉽게 행복해질 수가 없다. 맥시마이저는 하다 못해 쇼핑을 할 때도 다른 데서 더 좋은 것을 팔거나 같은 물건을 싸게 팔까봐 불안한 사람들이다. 우울증 환자들 중에 바로 이 맥시마이저형(型) 인간들이 많다고 한다. 반면 새티스파이어는 ‘이 정도면 됐잖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실업자들이 넘쳐나는 이 시대에 나는 안정된 직장이 있잖아” “조그만 아파트지만 그래도 내 집 한 채 있으니 걱정없어” 이런 식으로 생각해서 마음이 편하다면 새티스파이어다. 새티스파이어는 현실에 자족하기 때문에 변화나 상승의지가 약하다. 그러니까 상대평가에서는 크게 성공하지 못한 사람일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본인이 이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점이다. 세상이 참 공평하다. 맥시마이저는 많이 이뤄도 불행하고, 새티스파이어는 행복하지만 별로 내세울 게 없다. 맥시마이저와 새티스파이어라는 잣대로 친구들을 한 더 읽기

Clip에 게시되었습니다

Maxim Mocha

분명! 설탕조절하는 부분이 있는 녀석이라는 거다. 하지만! 난 조절을 못한다. 매번 거꾸로 뜯어서 설탕부터 붓는다..-_-;;

면담

내 버릇. 그냥 웃기. 대화마치고, “감사합니다.” 말하기. 흠;; 좋은 버릇이긴 하지만.. 지난주에도 그랬고, 오늘도 환자분을 만나 history taking한 후에.. 나오면서 “감사합니다.” -_-;; 고쳐야지…